본문 바로가기
일상라이프

단오의 의미와 유래, 풍습, 음식과 속담

by 애니조이 2024. 6. 8.
반응형

단오의 의미

6월 10일은 단오입니다. 단오는 단순한 명절을 떠나 조상들의 깊은 지혜와 삶의 철학이 담긴 문화유산입니다. 우리나라는 고대 마한 시절(3세기)부터 파종이 끝난 5월에 군중이 모여 신에게 제사하고 가무와 음주로 밤낮을 쉬지 않고 놀았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단오는 음력 5월 5일로 일 년 중에서 양기가 가장 왕성하다고 여겨지는 날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명절 중의 하나입니다. 단오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端) : 첫째를 뜻하는 말로, 음력 5월은 1년 중 다섯 번째 달이라는 뜻입니다.
  • 오(午) : 다섯을 뜻하는 말로, 5월 5일이라는 날짜를 나타냅니다.

 

반응형

 

 

단오의 유래

단오는 3,000년 이상 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오랜 역사를 자랑하며, 고대 중국의 음양오행 사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5월은 양기가 가장 강한 달로 여겨졌고, 이 시기에 다양한 행사를 통하여 악귀를 물리치고 건강과 풍요를 기원했습니다. 일설에 의하면 단오의 유래는 중국 초나라 회왕(懷王) 때에 굴원(屈原)이라는 신하가 간신들의 모함에 자신의 지조를 보이기 위해 멱라수에 투신 자살하였는데 그날이 5월 5일이었다. 그 뒤 해마다 굴원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하여 제사를 지내게 되었는데 이것이 우리나라에 전해져 단오가 되었다고 하는 설입니다.

 

단오의 풍습

단오의 풍습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창포(菖蒲) : 악귀를 물리치는 능력이 있다고 하여 문에 걸거나 지붕 위에 올렸습니다.
  • 단오 술 마시기 : 모과나 석죽, 쑥 등을 넣어 만든 단오 술을 마시며 건강을 기원합니다.
  • 돌담 넘기 : 마을의 돌담을 넘어 질병을 넘겼다고 합니다.
  • 그네 타기 : 높이 솟아오른 그네를 타며 하늘의 양기를 몸에 담는다고 믿었습니다.
  • 씨름 : 힘과 용기를 겨루는 씨름은 단오의 대표적인 민속놀이입니다.
  • 풍등 만들기 : 풍년을 기원하며 동물 모양의 풍등을 만들어 마을 곳곳에 설치해 놓았습니다.
  • 단오 옷 입기 : 붉은색이나 노란색 단오 옷을 입고 재앙을 막고 무병장수를 기원했습니다.
  • 단오 음식 먹기 : 단오 음식을 먹으며 건강을 기원했습니다.

 

단오의 음식

  • 쑥떡 : 쑥은 악귀를 물리치고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여겨져 단오에 쑥떡을 먹었습니다.
  • 부채꼴떡 : 부채꼴 모양의 떡은 부채처럼 바람을 일으켜 더위를 식히고 재앙을 막는다고 여겨졌습니다.
  • 수리취떡 : 수리취의 족이를 넣고 빻은 멥쌀가루에 설탕물을 넣어 채로 내린 뒤에 찐 떡
  • 빙떡 : 빙떡은 둥근 모양이 태양을 상징하며 건강과 풍요를 기원하는 음식입니다.
  • 콩나물국 : 콩나물은 새싹이 틔우는 모습에서 생명력을 상징하며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음식으로 여겨졌습니다.

 

단오의 속담

  • 단오에 떡 먹으면 한 해 병이 안 난다.
  • 단오에 술 마시면 한 해 병이 안 난다.
  • 단오에 옷 입으면 한 해 옷 걱정 안 한다.
  • 단오에 씨름하면 한 해 힘이 세다.
  • 단오에 그네 타면 한 해 액운이 멀다.

 

강릉단오제 2024 강릉단오제 일정

 

 

 

대한민국 구석구석에서 알려 주는 강릉단오제

 

강릉단오제 | 지역축제 | 대한민국 구석구석 축제

강릉단오제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이자 천년의 전통을 가진 대한민국 대표 축제로 매년 50만명이상의 관광객이 찾고 있다. 2024 강릉단오제는 솟아라, 단오라는 주제로 오는 6월 6일부터 6

korean.visitkorea.or.kr:443

 

 

다음백과에서 알려주는 단오입니다.

 

단오

1년 중에서 양기가 가장 왕성한 날이라 하여 음력 5월 5일에 지내는 우리나라의 명절. 수릿날·천중절. 일명 수릿날[戌衣日·水瀨日]·중오절(重午節)·천중절(天中節)·단양(端陽)이라

100.daum.net

 

지금까지 단오의 의미와 유래, 풍습과 음식, 속담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단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