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상포진은 수두를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신체에 잠복해 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지면 활성화되어 발생되는 질환입니다. 주로 신경을 따라 띠 모양으로 발진과 물집이 생기며 심한 통증을 동반하는 것이 큰 특징입니다. 대상포진은 완치되더라도 다시 걸릴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대상포진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상포진 목차
- 대상포진의 증상
- 대상포진의 원인
- 대상포진의 합병증
- 대상포진의 진단 및 치료
- 대상포진의 예방
- 대상포진의 전염성-전염과정-전염 줄이는 방법
대상포진의 증상
대상포진의 가장 큰 특징 증상은 심한 통증입니다. 발진이 생기기 이전부터 찌릿찌릿하거나 화끈거리는 통증이 나타나며, 발진이 생긴 후에도 통증이 지속되거나 더 심해질 수도 있습니다. 그 외의 증상입니다.
- 발진 증상 : 신경을 따라 띠 모양으로 붉은 반점이 나타나고 물집이 생긴다.
- 감각 이상 : 가려움, 저림, 따끈 거림 등의 감각 이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 피로감, 발열 : 전신 피로감, 발열, 근육통 등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대상포진의 원인
대상포진의 원인은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 어린 시절 수두를 앓고 나면 바이러스가 신경절에 잠복해 잇다가 면역력이 약해지면 다시 활성화됩니다.
- 면역력 저하 : 나이가 들거나 스트레스, 만성 질환, 암, 에이즈 등에 의해 면역력이 떨어지면 대상포진에 걸릴 위험이 높아집니다.
- 약물 복용 : 항암제 등의 면역력을 떨어트리는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의 합병증
대상포진의 합병증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후대상 포진 신경통 : 대상포진 치료 후에도 통증이 계속되는 질환이며,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 눈에 발생하는 대상포진 : 시력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 뇌염, 뇌수막염 : 뇌염증이나 뇌수막염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세균 감염 : 대상포진의 물집이 터져서 세균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의 진단 및 치료
- 대상포진 진단 : 피부과에서 환자의 병력과 증상, 피부 발진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하여 진단합니다.
- 대상포진 치료 :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여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고 통증 완화를 위해서 진통제, 신경통 치료제 등을 사용하여 치료합니다.
대상포진의 예방
대상포진의 예방법으로는 아래와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 대상포진 백신 접종 : 50세 이상 성인은 대상포진 백신을 접종하여 예방할 수 있습니다.
- 건강 관리로 면역력 향상 : 규칙적인 운동이나 충분한 수면, 스트레스 관리 등을 통해 면역력을 높여서 예방해야 합니다.
- 대상포진 조기발견 및 치료 : 대상포진은 초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면 합병증을 예방하고, 회복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초기 증상이 나타나면 반드시, 빨리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 및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상포진의 전염성-전염과정-전염 줄이는 방법
대상포진의 전염성
대상포진은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전염될 수 있지만 모든 사람에게 전염되지는 않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주의해야 합니다.
- 수두 앓은 적이 없는 사람 : 대상포진 환자의 물집에 직접 접촉하면 수두에 걸릴 수 있다.
- 면역력이 약한 사람 : 신생아, 암 환자, 에이즈 환자 등 면역력이 약한 사람은 대상포진 환자와 접촉할 경우 더욱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대상포진의 전염 과정
대상포진이 전염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 수두를 앓고 나면 바이러스가 신경절에 잠복해 있다가 신체의 면역력이 떨어지면 다시 활성화되어 대상포진을 일으킨다.
- 대상포진 물집 형성과 터짐 : 피부에 물집이 생기고 이 물집 속에 바이러스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터지면 접촉되어 전염될 수 있다.
- 직접 접촉 : 피부의 물집이 터져 나온 진물과 직접 접촉되거나 감염된 사람의 침에 노출될 경우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다.
대상포진 전염 줄이는 방법
대상포진의 전염을 막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대상포진 물집에 직접 접촉하지 않기 : 물집이 터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만지더라도 깨끗한 물과 비누로 접촉 부위를 씻어야 한다.
- 면역력 강화 : 규칙적인 운동, 충분한 수면, 건강한 식습관을 통해서 면역력을 높이도록 한다.
- 격리 : 면역력이 약한 사람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거나 격리하는 것이 좋다.
다음백과에서 알려주는 대상포진
대상포진
[분류] 감염성 질환, 피부질환, [발생 부위] 피부, [증상] 두통, 딱지, 발진, 환부 통증, [진료과] 피부과, [관련 질환]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 수두, 대상포진 후 신
100.daum.net
지금까지 대상포진에 관한 포스팅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상포진 백신 종류 및 예방 접종 가격 (9) | 2024.09.04 |
---|---|
대상포진 종류 및 증상 (10) | 2024.09.01 |
장마철 질병 원인 및 예방법 (18) | 2024.07.13 |
기넥신 에프 정 사용 후기 (19) | 2024.06.30 |
3H 탄소온열기 무전자파 탄소 매트 사용후기 (25) | 2024.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