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라이프

동지(冬至)의 유래와 음식과 풍습과 속담

by 애니조이 2023. 12. 22.
반응형

오늘은 동지입니다. 동지는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며 24 절기 중 22번째 절기입니다. 전통적 음력과 천문학적 근거에 의하며 태양의 진입점이 가장 낮은 위치에 도달하는 날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동지의 유래와 동지의 날짜, 동지의 음식, 동지의 풍습, 동지의 속담 등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동지란

동지란 음력과 천문학에 근거하는 동지는 '겨울의 절정'이라는 뜻하며 태양의 진입점이 가장 낮은 위치에 도달하는 날로서 한 해의 시작을 의미하며 이 날 이후로는 낮의 길이가 점점 늘어나고 기온도 조금씩 오르므로 동지는 농사에 있어서 중요한 절기입니다. 태양의 황경이 270도에 드는 날이기도 합니다.

 

반응형

 

동지의 유래

동지 유래의 가장 유력한 설은 '동지는 태양이 곰에게 잡혀 산에 갇힌 날이라고 하여 동지에 팥죽을 쑤어 태양을 구출하면 태양이 다시 하늘로 올라온다'는 중국의 설화가 있습니다.

 

동지 날짜 및 애동지 중동지 노동지

동지는 대설 15일 후 소한 전까지의 절기로 보통 양력 12월 22일이나 23일 무렵에 해당하는 데 음력으로 초순에 들면 애동지, 중순에 들면 중동지, 하순에 들며 노동지라고 합니다. 애동지에는 팥죽을 끓이지 않고 팥 시루떡을 해 먹으며, 중동지와 노동지에는 팥죽을 쑤어 먹습니다.

 

동지 음식

동지팥죽, 전약(煎藥)등이 있으며 팥의 붉은색은 음양 중에 양의 기운을 나타내고 귀신들을 쫓고 액운을 막아준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동짓날에는 팥죽을 쑤어 집 안팎에 뿌리고 이웃과 나누어 먹거나, 문이나 대문 근처 벽에 뿌려 악귀를 쫓는 주술 행위를 하기도 합니다. 동지 음식은 동지 전날인 섣달그믐에 찹쌀과 팥을 넣고 끓인 음식이며, 동지 팥죽을 가족과 친지들과 나누어 먹으면 한 해 동안의 건강과 안녕을 기원하게 된다고 합니다.

 

동지 풍습

동지의 풍습에는 여러 가지 풍습과 동지첨지, 동지고사, 동지불공, 동지하례, 동지헌말, 동지부적, 동지책력, 팥죽 뿌리기, 새알심점 등이 있는데 그 뜻을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 한국의 풍습 : 한국의 풍습에 따르면 동지는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로 액운이 가장 많이 낀 날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동지에는 팥죽을 먹고 귀신을 쫓는 등으로 액운을 물리치고 새해를 맞이한다고 합니다.
  • 동지는 밤이 가장 길어서 귀신이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 날이라고 여겨져 귀신을 쫓는 다양한 행사가 벌어지기도 하는데 대표적인 행사로는 귀밝이술 마시기, 팥죽 먹기, 호랑이 가면 쓰기 등이 있다.
  • 동지 첨지 : 이날 팥죽을 한 그릇 더 먹으면 한 살을 더 먹는다는 뜻
  • 동지고사 : 동지는 밤이 가장 길어 귀신이 출몰하기 쉬운 날이라 귀신을 물리치는 기능이 가장 강한 붉은 팥죽을 쑤어 집안 곳곳에 뿌리고 잡귀의 침입을 막기 위해 고사를 지내는 풍습
  • 동지불공 : 동짓날 절에 가서 팥죽을 공양물로 올리고 새해의 발원을 다짐하는 의례
  • 동지하례 : 동지 아침에 조정 대신들과 관리들이 왕에게 올리는 축하인사로 동지조하라고도한다.
  • 동지헌말 : 며느리가 시부모에게 버선을 드리는 풍속으로 동지가 되면 해가 길어지므로 장지(長至)를 발고 다니시라는 의미가 있다.
  • 동지부적 : 그 해가 시작되는 날 문에 부적을 붙이면 일 년 동안 벽사초복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믿음에서 시작된 것.
  • 동지책력 : 책력(冊曆)을 나누어 주면서 새해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로 인식하였다.
  • 팥죽 뿌리기 : 붉은 팥죽을 쑤어 집안 곳곳에 뿌려 잡귀의 침입을 막는 풍습.
  • 새알 심점 : 새알심을 가족 구성원의 나이대로 넣어서 점을 치는 풍습.

 

동지 속담

동지는 춥고 밤이 길어 호랑이가 교미한다고 하여 '호랑이 장가가는 날'이라고도 합니다.

 

동지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중요한 절기 중 하나이나 현대사회에 들어오면서 의미와 풍습이 점점 사라지고 있어서 문화의 전통적인 측면에서 점차 잊혀 가고 있는데, 일부에서는 전통 문화를 되살리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동지의 유래와 속담까지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동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