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라이프

처서의 뜻과 유래, 처서 풍습, 처서 음식, 처서 속담

by 애니조이 2024. 8. 22.
반응형

8월 22일(음력 7월 19일)은 처서입니다. 처서는 더위가 물러가고 가을이 시작되는 시기로 농사와 생활에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절기입니다. 오늘은 처서의 뜻과 유래, 풍습과 음식, 속담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처서-처서의뜻

 

반응형

 

처서의 뜻과 유래

처서(處暑)는 24 절기 중 14번째 절기입니다. '처서'라는 말은 '더위가 물러가다'라는 뜻을 갖고 있으며, 더위가 기승을 부리면 여름이 끝나고 선선한 가을이 시작되는 시기를 말합니다. 처서는 고대 중국에서 농경생활을 하던 사람들이 자연 현상을 관찰하고 계절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만들어낸 절기입니다. 낮의 길이가 짧아지고 기온이 점차 낮아지기 시작하면서 농작물이 익어가는 시기이므로 농사짓는 사람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시기였습니다.

 

처서의 풍습

  • 삼복더위의 끝 : 처서는 삼복더위가 끝나고 더위가 물러가는 시기로 여겼습니다.
  • 가을맞이의 준비 : 농촌에서는 추수를 준비하고, 집안에서는 옷장 정리를 하며 가을을 맞이하였습니다.
  • 건강관리 : 더위로 지친 몸을 추스르며 건강을 관리하기 위해서 보양식을 먹거나 약초 등을 섭취했습니다.

 

처서의 음식

  • 삼복 동안 먹었던 삼계탕이나 보양식 등을 먹기도 했습니다.
  • 가을 제철 음식  : 밤, 도토리, 송이버섯 등 가을 제철음식을 즐기기도 했습니다.

 

처서의 속담

  • 처서가 지나면 모기 입이 막힌다 : 처서가 지나면 더위가 물러가고 모기가 활동을 멈춘다는 뜻.
  • 처서에 먹는 풋감은 금 : 처서 무렵에 먹는 풋감은 맛이 좋고 건강에 좋다는 뜻.
  • 처서 더위는 삼복보다 더 덮다 : 예외적으로 처서 무렵에 더위가 기승을 부릴 때 사용하는 속담.

 

 

지금까지 처서에 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