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민금융진흥원은 "서민의 원활한 금융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서민금융정책기관"입니다. 은행 등 제도권의 금융 이용이 어려운 "저소득, 저 신용층 및 청년, 대학생 등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정책서민금융 지원, 금융 교육, 자영업 컨설팅, 취업 연계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서민 생활의 안정과 경제, 사회의 균형 있는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합니다.
반응형
서민금융진흥원의 주요 목적 및 역할
- 서민 생활 안정 : 금융 지원 및 비금융 서비스를 통해 서민들의 경제적 어려움을 완화하고 안정적인 생활을 돕습니다.
- 경제, 사회 균형 발전 : 서민들의 경제 활동 참여를 촉진하여 사회 전체의 균형 있는 발전에 기여합니다.
- 포용 금융 실현 : 제도권 금융에서 소외된 계층에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여 금융 포용성을 높입니다.
- 정책서민금융상품 지원 : 낮은 금리의 햇살론, 미소금융, 햇살론 유스 등 다양한 정책서민금융상품을 제공하여, 자금이 필요한 서민들의 금융 접근성을 높입니다.
- 맞춤형 상담 제공 : 개인의 신용, 소득, 부채 상황 등을 고려한 맞춤 금융 상담을 제공하여 합리적인 금융 계획 수립을 지원합니다.
- 금융 교육 : 금융 지식 및 역량 강화를 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스스로 금융 문제를 해결하고 건전한 금융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취업 및 자영업 지원 : 경제적 자립을 위한 취업 연계, 자영업 컨설팅 등 비금융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 휴면 예금 관리 및 지급 : 오랫동안 찾아가지 않은 휴면 예금을 관리하고 원권리자에게 돌려주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서민금융진흥원 지원 대상
지원 대상은 상품별로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충족하는 서민 및 취약 계층이 대상이 됩니다.
- 소득 기준 : 연 소득 일정 금액 이하(상품별 상이)
- 신용 기준 : 개인 신용 평점 하위 일정 % 이하(상품별 상이)
- 특정 계층 : 청년, 대학생, 저소득 자영업자, 취업 준비생 등
서민금융진흥원 주요 지원 상품
주요 지원 상품은 아래와 같습니다.
햇살론
- 저신용, 저소득 근로자를 위한 보증부 대출 상품입니다. 생계자금, 대환자금 등을 지원합니다.
미소금융
- 창업 또는 운영 자금이 필요한 저신용 영세 자영업자, 농어민 등을 위한 무담보 소액 대출 상품입니다.
햇살론 유스
- 저소득 청년 증의 학업 및 취업 준비, 생활 안정을 위한 보증부 대출 상품입니다.
햇살론 15
- 고금리 대출 이용이 불가피한 저신용-저소득자를 위한 정부 지원 대출 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
- 청년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정부지원형 적금 상품입니다.
서민진흥금융원 홈페이지 메뉴
서민금융진흥원 상품 이용 방법
- 상담 :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앱 또는 전국의 서민금융지원센터를 통해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전화 상담은 국번 없이 1397로 가능합니다.
- 자격 확인 : 상담을 통해 본인의 상황에 맞는 상품을 추천받고, 지원자격 요건을 확인합니다.
- 보증 신청(해당 상품) : 햇살론 등 보증이 필요한 상품의 경우, 서민금융진흥원에 보증을 신청합니다. 서민금융진흥원 앱 또는 센터 방문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 대출 신청(해당 상품) : 보증 승인 후, 협약된 금융 기관(은행, 저축은행, 상호금융 등)을 통해 대출을 신청합니다.
- 교육 이수(필요시) : 일부 상품의 경우 금융 교육 이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대출 실행 : 실사를 거쳐 대출이 승인되면, 자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이용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 '서민금융 잇다"를 통해 상품 정보 확인, 상담 신청, 보증 신청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서민금융상품(근로자햇살론, 햇살론15, 햇살론유스, 미소금융), 서민생활지원, 휴면예금 지급서비스 제공
www.kinfa.or.kr
서민금융 잇다 - Google Play 앱
서민금융 종합플랫폼 '서민금융 잇다', 서민금융진흥원의 모든 서민금융서비스를 한 번에!
play.google.com
지금까지 서민금융진흥원에 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경제-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장려금 신청 자격 및 신청 방법 (2) | 2025.05.21 |
---|---|
본인신용정보 열람서비스 열람 방법 (4) | 2025.05.18 |
예금보호한도 5천만 원에서 1억 원으로 9월 1일부터 상향 시행 (5) | 2025.05.17 |
소상공인24 주요 기능 및 이용 방법 (2) | 2025.05.16 |
소상공인 배달 택배비 지원 (6) | 2025.05.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