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상라이프59

설날의 유래, 풍습, 민속놀이, 음식, 속담 설날은 예부터 한 해의 시작을 알리는 가장 큰 명절로 친지가 모여 새해를 축하하고 서로의 안부를 확인하며, 설음식을 만들거나 차례를 지내거나 떡국 먹기, 세배하기, 윷놀이하기, 널뛰기하기, 연날리기, 화투치기 등의 전통놀이로 가족과 친구, 지인 간에 즐겁게 지내는 명절입니다. 설날의 유래 설날은 한국의 중요한 전통 명절 중 하나로, 음력 1월 1일에 해당하며 봄의 시작을 의미합니다. 설날의 유래는 정확하지 않지만 역사기록으로는 "삼국사기"에는 신라 비처왕 1년(488년)에 설날을 기념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설날은 가족들이 모여 조상들에게 차례를 지내고 서로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는 의미 있는 날입니다. 또한, 다양한 전통 음식과 놀이를 즐기며 가족 간의 유대를 강화하는 소중한 기회이기도 합니다. 조선시.. 2024. 2. 9.
입춘의 유래와 의미, 속담, 풍습과 음식 2월 4일은 입춘입니다. 오늘은 입춘의 유래와 의미, 풍습, 음식과 속담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벌써 남쪽나라 제주도에서는 봄꽃 피는 소식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입춘이라는 소식이 들리면 벌써 봄이 올 것이라는 기대감에 마음이 따뜻해지는 것 같습니다. 입춘의 유래와 의미 입춘이란 24 절기 중 새해의 첫 번째 절기로 봄이 시작되는 날이며, 입춘날 아침에는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소지황금출(掃地黃金出), 개문만복래(開門萬福來) 등의 문구를 적은 입춘첩(立春帖)을 각 집의 대문이나 기둥에 붙이는 풍습이 있습니다. 봄을 기다리는 마음과 한 해 행운과 경사스러움이 가득하기를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입춘의 속담 입춘의 속담은 대체적으로 추위에 관련된 속담입니다. 입춘 추위는 꿔.. 2024. 2. 3.
대한(大寒)의 유래와 풍습-음식-속담 1월 20일은 24 절기의 마지막인 대한입니다. 양력 1월 20일 무렵이며 태양이 황경 300도의 위치에 있을 때입니다. 오늘은 대한의 유래, 풍습, 음식, 대한의 속담 등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대한의 유래 대한은 중국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려 충렬왕 때 도입되었습니다. 대한은 24 절기 중 마지막 절기이자 한해의 마지막 절기입니다. 최근에는 온난화와 중국 화북지방과의 기후 차이로 인해 몇 절기와 시기가 우리나라와는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한의 풍습 대한은 24번째 마지막 절기이며, 한해와 겨울의 마지막 절기입니다. 대한의 풍습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농가에서는 대한을 실질적 연말로 여기며, 방안에 콩을 뿌려 악귀를 쫓고 새해를 맞이하는 풍습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대한.. 2024. 1. 19.
다이어리 데이의 의미와 유래 다이어리 데이의 의미 다이어리 데이는 매년 1월 14일로 소중한 연인이나 친구에게 다이어리를 선물하는 날입니다. 서로에게 전달하고 싶은 글이나 공유하고 싶은 계획을 적어서 다이어리를 교환하고 알찬 한 해를 보내자는 의미가 있습니다. 연인끼리는 새 다이어리로 함께 1년 계획을 세우고 알찬 한 해를 보내자고 기념하는 날이기도 합니다. 다이어리 데이는 주로 연인 간의 데이트 문화로 자리 잡았는데, 서로 다이어리를 선물하며 1년간의 데이트 계획을 기록하거나 서로의 소중한 추억을 기록하기도 합니다. 또한 다이어리 데이는 가족이나 친구, 지인 등 소중한 사람들에게 다이어리를 선물하는 날로도 활용이 되고 있습니다. 다이어리 데이의 유래 다이어리 데이의 유래는 2013년경부터이며 인터넷에서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024. 1. 13.
신나는 겨울 축제, 화천 산천어축제 - 평창송어축제 - 홍천강 꽁꽁축제 요즘 화제의 겨울 축제인 화천 산천어축제, 평창송어축제, 홍천강 꽁꽁축제에 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산천어나 송어가 축제의 주요 어종인데요, 겨울 축제별 기간과 주요 프로그램을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2024 얼음나라 화천 산천어축제 화천 산천어축제는 1/6(토)-1/28(일)까지 23일간 화천군 화천읍 일원에서 펼쳐집니다. 산천어 체험, 눈/얼음 체험, 문화이벤트, 먹거리/살거리, 선등거리 페스티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체험할 수 있는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겨울 대표 축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더 상세한 정보는 아래를 클릭해 주세요. 2024 얼음나라 화천 산천어축제 대한민국 대표축제, 산천어체험, 얼음낚시, 눈/얼음체험, 문화/이벤트, 선등거리, 세계최대실내얼음조각광장 www.narafestival.co.. 2024. 1. 9.
소한(小寒)의 유래와 풍습과 음식과 속담 오늘은 소한입니다. 소한은 24 절기 가운데 23번째 절기로 작은 추위라는 뜻의 절기이며 음력으로는 12월에 해당하는 태양의 황경 285도의 위치에 있을 때 해당됩니다. 오늘은 소한의 유래와 풍습과 음식, 속담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소한이란 소한은 해가 양력으로 바뀌고 가장 빨리 오는 절기로 양력 1월 5-6일 무렵입니다. 소한 무렵은 정초한파라 불리며 강추위가 몰려오는 시기이며 소한부터 날이 풀리는 입춘 전까지 약 한 달간 혹한에 대비해 만반의 준비를 해두는 절기라고 합니다. 요즘은 무색해졌지만 삼일 춥고 사흘 따뜻한 '삼한사온' 기후가 시작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소한의 풍습 소한에는 겨울을 날 수 있도록 땔감과 고구마, 감자 등의 먹을거리를 준비하는 등의 본격적인 겨울나기의 대비를 합니다.. 2024. 1. 6.
동지(冬至)의 유래와 음식과 풍습과 속담 오늘은 동지입니다. 동지는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며 24 절기 중 22번째 절기입니다. 전통적 음력과 천문학적 근거에 의하며 태양의 진입점이 가장 낮은 위치에 도달하는 날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동지의 유래와 동지의 날짜, 동지의 음식, 동지의 풍습, 동지의 속담 등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동지란 동지란 음력과 천문학에 근거하는 동지는 '겨울의 절정'이라는 뜻하며 태양의 진입점이 가장 낮은 위치에 도달하는 날로서 한 해의 시작을 의미하며 이 날 이후로는 낮의 길이가 점점 늘어나고 기온도 조금씩 오르므로 동지는 농사에 있어서 중요한 절기입니다. 태양의 황경이 270도에 드는 날이기도 합니다. 동지의 유래 동지 유래의 가장 유력한 설은 '동지는 태양이 곰에게 잡혀 산에 갇힌 날이라고 하.. 2023. 12. 22.
대설(大雪)의 유래-특징-풍속-속담 오늘 12월 7일은 대설입니다. 대설은 일 년 24 절기 중에 21번째 절기로, 소설과 동지 사이에 위치해 있는데 눈이 가장 많이 온다고 해서 대설이란 이름이 유래되었습니다. 대설 시기에는 차가운 대륙 고기압이 확장되며 큰 눈이 내리거나 큰 추위가 찾아오기도 합니다. 오늘은 대설과 이름 유래, 대설의 특징과 날씨, 대설 풍속과 대설 속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설의 유래 대설은 24 절기 중 21번째의 절기로 태양의 황경이 255도가 되는 때를 말합니다. 소설과 동지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눈이 가장 많이 온다는 뜻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대설은 원래 재래 역법(曆法)의 발상지이며 기준 지점인 중국 화북(華北) 지방의 계절적 특징을 반영한 절기라서 우리나라에서는 이 시기에 적설량이 많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2023. 12. 7.
소설(小雪)의 특징과 풍습 - 음식 - 속담 오늘은 소설입니다. 소설은 예부터 전해 내려오는 일 년의 24 절기 중 20번째 절기로 그 특징과 풍습, 음식과 속담에 대해서 알아보고 소설의 손돌바람과 손돌 설화에 대해서도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소설의 특징 소설은 24 절기 중 20번째 절기로 살얼음이 얼기 시작하는 땅이 얼기 시작하는 절기이고 본격적으로 추위가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기온이 급격히 낮아지고 건조해지기 때문에 건강이나 감기 등에 조심해야 한다. 소설의 풍습 소설이 되면 급격히 추워져 김장을 서둘렀다고 한다. 시래기를 묶어서 달아서 말리거나 무말랭이나 호박을 썰어서 말리기도 한다. 겨울 내내 소에게 먹일 볏짚을 모아 두고 겨울을 대비했다 월동 준비를 위한 일처리도 이때에 한다고 한다. 소설이 되면 바람이 심하게 불고 추워지는.. 2023. 11. 22.
2024년도 수능 시험 11/16(목) 주의사항 및 준비물과 시험시간표, 시험 팁 및 배려사항 2024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내일로 다가왔습니다. 주의사항 및 반입금지품, 준비물, 시험시간표, 시험을 잘 보기 위한 팁과 수험생 부모들의 배려 사항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대학수학능력 시험 주의사항 및 반입 금지품 입실시간 : 오전 6시 30분~ 8시 10분까지 시험실 또는 대기실에 입실해야 한다 수험장 주변 200m 전방부터는 차량출입이 통제되므로 차량을 이용한 수험생과 가족은 내려서 걸어가야 한다. 코로나19 확진 수험생도 별도의 분리 없이 다른 수험생과 같은 시험장에서 시험을 보게 됩니다. 반입 금지품 : 컴퓨터, 태블릿 PC, 휴대전화, 스마트기기(스마트워치 등), 디지털카메라, 전자사전, MP3 플레이어, 카메라펜, 전자계산기, 라디오,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통신-결제기능(블루투스.. 2023. 11. 15.
입동, 겨울의 시작과 겨울 채비 아름다운 단풍도 잠깐, 어느새 낙엽이 떨어지기 시작하더니 11월 8일(수)이 벌써 24 절기의 19번째 절기인 입동입니다. 이날부터 겨울이 시작된다고 하여 입동(入冬)이라 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입동이 다가오면 추운 겨울을 대비하여 겨울 채비를 시작해야 합니다. 입동의 풍습과 음식 올해의 입동은 11월 8일이며 겨울의 시작인 입동에 대해 알아보고 풍습과 음식 등을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입동(入冬)은 24 절기 중 19번째 절기로 이날부터 겨울이 시작된다. 입동은 명절로 여기지는 않지만 겨울로 들어서는 날로 여겨져 겨울 채비를 하는 것이 좋다. 단풍이 끝나고 낙엽이 떨어지고 쌓이며,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절기이다. 입동 시기에는 날씨가 추워지므로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이 땅굴을 파고 숨기 시작한다. 입동에.. 2023. 11. 7.
반응형